카테고리 없음

"치과 충치 치료 : 레진, 인레이 치료 (Resin, inlay)"

둥티쳐 2023. 10. 18. 09:00

치아에 충치가 생기면 그 부위를 제거한 후 치과용 재료를 이용해 치료를 해야 합니다.
충치를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오늘은 입안에서 직접 충치 부위를 제거하고 메꾸는 직접법인 레진 치료법과 본떠서 제작한 보철물을 부착하는 방식의 치료인 인레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진 치료>
1. 레진의 구성 및 작용
레진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는 재료입니다. 종류는 흐름성이 있거나 또는 치약과 비슷한 페이스트의 형태 이렇게 총 2가지로 나뉩니다. 충치를 제거한 후 레진으로 그 부위를 충전하고 레진을 단단하게 굳히는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빛을 쪼이면 레진이 단단하게 변합니다. 물성이 단단하고 치아색과 동일하며 밝은색 부터 어두운 색의 계열까지 여러가지 색 중 알맞는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심미적이므로 앞니에도 자주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치아에 여러가지 표면 처리를 하게되면 치아와 레진이 접착될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부위만 선택적으로 삭제 후 치료할 수 있으며 최소 침습 치료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2. 레진의 단점
하지만 위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단점들도 존재합니다. 구강 내에서 치아와 레진을 붙이기 위해서는 접착이라는 단계가 필요한데, 접착제는 습기에 매우 민감합니다. 입안의 침 또는 물이 들어갈 경우 접착에 실패해서 레진과 치아가 잘 안붙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틈과 변색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진 치료는 개념만 이해했을때는 간단한 치료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추구 치아가 예민해지거나 시린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3. 레진의 적응증
레진 치료를 할 수 있는 치아들은 보통 정해져 있습니다. 치아에 생긴 충치 범위가 법랑질~상아질에 국한되어야 합니다. 또한 사이 충치는 레진 치료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4. 레진 치료 후 주의사항
보통 충치 치료를 할 때에는 충치 깊이에 따라 마취 여부를 결정합니다. 표면에만 얕게 생긴 충치의 경우 마취를 하지 않고 레진 치료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치료가 끝나면 치료한 치아로 바로 식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충치가 깊을것으로 예상되어 마취를 동반한다면, 레진 치료가 하루만에 끝났다 하더라도 마취가 전부 풀린 느낌이 들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취가 덜 풀린채로 식사를 하면 혀나 볼을 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앞니에 레진 치료를 한 경우, 레진과 치아 사이 경계부위가 착색에 취약한 점을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커피, 홍차 등 착색을 유발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바로 칫솔질을 하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물로 가글하여 입안에 착색 유발 성분의 잔류 시간을 줄여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인레이 치료>
1. 인레이 치료에 대하여
인레이 충치치료는 치아끼리 맞닿는 인접면에 충치가 생겼거나 씹는면의 충치의 깊이가 깊거나 범위가 넓은 경우에 시행하는 충치치료 방법입니다. 초기의 넓지 않은 충치에 치료하는 레진 치료와는 달리 인레이 치료를 하는 치아의 충치는 대부분 깊거나 넓은 치아가 많습니다. 사용되는 재료로는 주로 금, 레진, 세라믹 이 세가지가 대표적입니다. 직접 충전하는 레진치료와 다르게 인레이 치료는 본을 떠서 제작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손실된 치아와 가장 유사한 형태로의 기능과 형태가 회복이 가능합니다. 또한 치아 전체를 덮어 씌우는 크라운 치료에 비해 치아 삭제량이 더 적으므로 치질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인레이 재료의 종류 : 치아 부위와 형태 등을 분석하여 여러가지 결정을 하는것이 필요합니다.
- 금 인레이의 경우 자연치아와 비슷한 강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변색과 부식이 없어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안정성이 뛰어나서 충치 부위가 넓은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색깔 때문에 비심미적일수 있으며, 비용도 다른 재료에 비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금과 치아는 쉽게 말하면 풀로 부착하듯 기계적 접착을 하는것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흐르면 틈이 생겨 2차 충치가 생길 우려가 있습니다.

- 세라믹 인레이의 경우 도자기와 비슷한 성질을 가졌으며, 치아 색과 거의 비슷하면서도 구강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진 인레이에 비해서 높은 강도를 가졌기 때문에 교합력이 강하게 적용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심미적 인레이 치료법입니다.

- 레진 인레이의 경우치아와 같은 색상의 인레이로 심미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탈락 가능성이 적습니다. 하지만 강도가 떨어져 충치 부위가 넓거나 교합력을 많이 받는 부위에서는 사용을 권하지 않습니다.

3. 치료 과정
보통 2회 내원을 통해 치료를 진행합니다. 1회 차 내원 때 충치를 제거 후 인레이 본을 뜨고 그 부위는 임시 약재로 메꾼 후 귀가합니다. 약 일주일 후 2회 차 내원 때 인레이 부착을 하고 마무리 합니다. 하지만, 최근 구강스캐너를 도입한 치과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1회 방문에 스캔부터 인레이 제작까지 완료하여 원데이로 치료가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인레이 치료 후 주의사항
인레이 치료 후 보철물의 형태, 두께,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적응이 될 때 까지 이물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레이 치료 후 충치가 깊었던 경우 길면 수 개월 까지 약간의 시린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씹을 때 통증, 심각하게 시린 증상, 일상 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의 불편감이 있다면 치과에 내원해서 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인레이 부착시 사용한 접착제에 따라 다르지만 금 인레이 부착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접착제의 경우 24시간에 걸쳐 2~3배 단단히 굳으므로 하루정도 식사에 주의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세라믹이나 레진 인레이에 사용하는 접착제의 경우 시간에 비례하여 단단히 경화되는 접착제가 아닌, 그 자리에서 완전히 경화되는 접착제를 주로 사용하므로 마취가 풀리면 바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재료라도 치아보다는 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치아에 충치가 생기면 그 부위를 제거한 후 치과용 재료를 이용해 치료를 해야 합니다.

충치를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오늘은 입안에서 직접 충치 부위를 제거하고 메꾸는 직접법인 레진 치료법과 본떠서 제작한 보철물을 부착하는 방식의 치료인 인레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진 치료>
1. 레진의 구성 및 작용

레진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는 재료입니다. 종류는 흐름성이 있거나 또는 치약과 비슷한 페이스트의 형태 이렇게 총 2가지로 나뉩니다. 충치를 제거한 후 레진으로 그 부위를 충전하고 레진을 단단하게 굳히는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빛을 쪼이면 레진이 단단하게 변합니다.  물성이 단단하고 치아색과 동일하며 밝은색 부터 어두운 색의 계열까지 여러가지 색 중 알맞는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심미적이므로 앞니에도 자주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치아에 여러가지 표면 처리를 하게되면 치아와 레진이 접착될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부위만 선택적으로 삭제 후 치료할 수 있으며 최소 침습 치료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2. 레진의 단점

하지만 위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단점들도 존재합니다. 구강 내에서 치아와 레진을 붙이기 위해서는 접착이라는 단계가 필요한데, 접착제는 습기에 매우 민감합니다. 입안의 침 또는 물이 들어갈 경우 접착에 실패해서 레진과 치아가 잘 안붙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틈과 변색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진 치료는 개념만 이해했을때는 간단한 치료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추구 치아가 예민해지거나 시린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3. 레진의 적응증

레진 치료를 할 수 있는 치아들은 보통 정해져 있습니다. 치아에 생긴 충치 범위가 법랑질~상아질에 국한되어야 합니다. 또한 사이 충치는 레진 치료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4. 레진 치료 후 주의사항

보통 충치 치료를 할 때에는 충치 깊이에 따라 마취 여부를 결정합니다. 표면에만 얕게 생긴 충치의 경우 마취를 하지 않고 레진 치료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치료가 끝나면 치료한 치아로 바로 식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충치가 깊을것으로 예상되어 마취를 동반한다면, 레진 치료가 하루만에 끝났다 하더라도 마취가 전부 풀린 느낌이 들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취가 덜 풀린채로 식사를 하면 혀나 볼을 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앞니에 레진 치료를 한 경우, 레진과 치아 사이 경계부위가 착색에 취약한 점을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커피, 홍차 등 착색을 유발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바로 칫솔질을 하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물로 가글하여 입안에 착색 유발 성분의 잔류 시간을 줄여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인레이 치료>

1. 인레이 치료에 대하여

인레이 충치치료는 치아끼리 맞닿는 인접면에 충치가 생겼거나 씹는면의 충치의 깊이가 깊거나 범위가 넓은 경우에 시행하는 충치치료 방법입니다.  초기의 넓지 않은 충치에 치료하는 레진 치료와는 달리 인레이 치료를 하는 치아의 충치는 대부분 깊거나 넓은 치아가 많습니다. 사용되는 재료로는 주로 금, 레진, 세라믹 이 세가지가 대표적입니다. 직접 충전하는 레진치료와 다르게 인레이 치료는 본을 떠서 제작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손실된 치아와 가장 유사한 형태로의 기능과 형태가 회복이 가능합니다. 또한 치아 전체를 덮어 씌우는 크라운 치료에 비해 치아 삭제량이 더 적으므로 치질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인레이 재료의 종류 : 치아 부위와 형태 등을 분석하여 여러가지 결정을 하는것이 필요합니다.

- 금 인레이의 경우 자연치아와 비슷한 강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변색과 부식이 없어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안정성이 뛰어나서 충치 부위가 넓은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색깔 때문에 비심미적일수 있으며, 비용도 다른 재료에 비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금과 치아는 쉽게 말하면 풀로 부착하듯 기계적 접착을 하는것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흐르면 틈이 생겨 2차 충치가 생길 우려가 있습니다.

- 세라믹 인레이의 경우 도자기와 비슷한 성질을 가졌으며, 치아 색과 거의 비슷하면서도 구강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진 인레이에 비해서 높은 강도를 가졌기 때문에 교합력이 강하게 적용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심미적 인레이 치료법입니다.

- 레진 인레이의 경우치아와 같은 색상의 인레이로 심미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탈락 가능성이 적습니다. 하지만 강도가 떨어져 충치 부위가 넓거나 교합력을 많이 받는 부위에서는 사용을 권하지 않습니다.

3. 치료 과정

보통 2회 내원을 통해 치료를 진행합니다. 1회 차 내원 때 충치를 제거 후 인레이 본을 뜨고 그 부위는 임시 약재로 메꾼 후 귀가합니다. 약 일주일 후 2회 차 내원 때 인레이 부착을 하고 마무리 합니다. 하지만, 최근 구강스캐너를 도입한 치과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1회 방문에 스캔부터 인레이 제작까지 완료하여 원데이로 치료가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인레이 치료 후 주의사항

인레이 치료 후 보철물의 형태, 두께,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적응이 될 때 까지 이물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레이 치료 후 충치가 깊었던 경우 길면 수 개월 까지 약간의 시린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씹을 때 통증, 심각하게 시린 증상, 일상 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의 불편감이 있다면 치과에 내원해서 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인레이 부착시 사용한 접착제에 따라 다르지만 금 인레이 부착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접착제의 경우 24시간에 걸쳐 2~3배 단단히 굳으므로 하루정도 식사에 주의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세라믹이나 레진 인레이에 사용하는 접착제의 경우 시간에 비례하여 단단히 경화되는 접착제가 아닌, 그 자리에서 완전히 경화되는 접착제를 주로 사용하므로 마취가 풀리면 바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재료라도 치아보다는 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하는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