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정 장치 부착, 교정 고무줄 주의사항"

둥티쳐 2023. 10. 21. 08:50

<교정장치 부착 후 주의사항>
치아 교정을 시작한 후 되도록 지켜야 할 주의사항들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1. 치아 교정 중 식사는 어떻게 할까요?
- 교정을 시작하기 전 가장 고민이 큰 부분 중 하나가 "밥 어떻게 먹어요?"가 많을텐데요, 아무래도 치아 교정 장치인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면 음식물 섭취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 브라켓의 경우 치아 색인 경우와 메탈색인 경우로 나뉘는데, 치아 색인 경우, 착색을 유발하는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장치의 색상도 일시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자주 접할 수 있는 "카레"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카레를 먹은 후 치아 색인 브라켓의 경우 일시적으로 노랗게 착색이 될 수 있습니다. 추후 양치질 하고 나면 서서히 돌아오긴 하지만, 착색을 잘 유발하는 음식은 되도록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 젤리 등과 같이 딱딱한 음식과 끈적이며 질긴 젤리류도 가급적이면 안 드시는 것이 좋고 이러한 음식물들은 브라켓 주변으로 껌 같은 것들이 엉겨 붙어 제거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장치가 빨리 탈락될 수 있습니다.

- 치아 교정 중에는 당연히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고기나 약간 부피가 큰 음식을 드실때는 가위로 잘게 잘라 섭취하시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렇게 신경써서 사용하다 보면 브라켓의 탈락도 적습니다.

- 월 진료 후 또는 검진 때마다 통증이 가장 심할 때가 있습니다. 그 때는 선택적으로 부드러운 음식물 위주로 식사해주시고, 유동식, 계란,두부, 우유등을 드시면 더 좋습니다.

2. 교정용 치아 관리법이 따로 있나요?
치아 교정 중에는 충치가 잘 생기기 쉽습니다. 브라켓이 붙어있는 부위나 치아 사이 부위의 양치질이 쉽지 않기 때문에 브라켓 주변과 치아 사이 부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교정용 칫솔, 치간 칫솔, 슈퍼플로스 치실을 사용하여 충치가 생기기 쉬운 곳을 관리하는것이 중요합니다.

3. 교정 중 브라켓이 떨어지면 어떻게 하나요?
교정 치료 중 사용하는 브라켓은 교정 치료가 종결되어야 제거하는 장치이므로, 치료 중 떨어지면 재부착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탈락 시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치과로 내원하여 재부착 하는것을 권유합니다. 치아에 브라켓이 붙어있어야 와이어와 브라켓을 연결하여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 끝에 찔리면 어떻게 하나요?
교정은 올바른 아치 형태의 와이어 모양을 따라서 치아의 모양이 바뀌는것이라고 이해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브라켓에 와이어를 체결하는데요, 중간에 치열이 바뀜에 따라 와이어의 툭 튀어나온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찔리는 정도가 일상 생활을 하는데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치과에 내원하여 확인을 받아야하고, 적응 단계에서 찔리는 느낌이라면 교정용 왁스를 와이어 끝에 붙여주면 불편함이 줄어들 것 입니다.

5. 치아 교정 중 주의가 필요한 행동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치아 교정 중에는 앞니 또는 얼굴 안면 부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브라켓 때문에 얼굴에 부상을 당했을 때 입술 안쪽이 다칠 수 있으며, 또한 격투기 등 얼굴에 힘을 가하는 운동은 지양하는것이 중요합니다. 

6. 한 달에 한 번 내원하는것 꼭 지켜야 하나요?
교정 치료를 좋은 치료로 이어가기 위해선, 가급적 월 치료 날짜는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속을 한 번 미루게 되면, 그만큼 치아 교정의 치료 기간이 계속 늦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브라켓이 부착되어 있는 동안 대략 4주에 한 번씩 교정 체크를 받게 되는데, 장기간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아 우식 또는 치주 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통상적으로 치아 교정은 짧으면 1년에서 1년 반, 길면 2년에서 3년까지도 소요되기 때문에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여 오랜기간 잘 지켜주는것이 중요합니다.

<교정치료 고무줄>
교정 치료 시 사용되는 보조 장치 중 하나인 고무줄은 개개인의 치열 및 잇몸 상태에 따라 사용 여부가 결정됩니다. 고무줄은 어느정도 치아 배열이 다 되어가는 시점 또는 발치 공간을 닫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교정 치료 마무리에도 큰 역할을 하는 만큼, 사용시 주의사항을 잘 지켜주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치아 교정시 사용하는 고무줄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교정을 위해 발치한 공간을 비교적 빠르게 닫히게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발치 공간 이외에도 치아 사이가 많이 벌어져 있는 경우에 빈 공간으로 치아를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 위턱과 아래턱의 맞물리는 교합이 이상적으로 물릴 수 있도록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 교정 마지막 단계에서 빠르게 마무리 지어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 치아의 앞니 중심선을 세밀하게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2. 치아 교정 고무줄 사용시 주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교정 고무줄은 식사를 할 때나 양치질을 할 때만 제외하고 24시간 착용이 원칙입니다 : 고무줄을 오래 끼고 있어야 효과적이기 때문에 잘 때 역시 고무줄을 건 상태로 주무시는것이 고무줄의 효과를 최대로 볼 수 있습니다.

- 교정 고무줄을 거는 치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고무줄을 처음 걸게 되면 치아에 새로운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그 힘에 익숙해지면 통증은 서서히 없어지게 되고, 대부분 3~4일 지나면 통증은 괜찮아지지만 그 정도가 심하신 분들은 진통제를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 

- 통증이 있다고 해서 고무줄을 걸지 않으면 고무줄이 주는 교정적 치료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니 고무줄 착용이 필요한 시기에는 꼭 착용하시길 바랍니다.

- 고무줄 착용 후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고 불필요한 힘이 고무줄을 건 치아에 전달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음식물 섭취 시 꼭 제거를 한 후 식사를 하셔야 합니다. 또한 고무줄을 착용한 상태에서 카레 등의 착색 유발 식품을 섭취한 경우 고무줄의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 고무줄은 하루에 1회만 교환합니다 : 고무줄이 끊어지는 등의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하루에 한 번만 교환하는것이 필수입니다. 환자 임의대로 여러번 교환하거나 여러개를 뭉쳐서 끼는 등의 행동은 절대로 금지합니다.

- 고무줄을 거는 치아의 교정 장치가 탈락할 수 있습니다. 장치가 탈락한다면 최대한 빨리 치과에 내원하여 장치를 다시 부착한 후 고무줄 착용을 이어서 하는것이 좋습니다.

-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료진이 알려준 대로 올바르고 정확한 위치에 맞춰 고무줄을 거는것 입니다. 

- 위치가 헷갈리는 경우에는 처음에 사진을 찍어두는것이 도움이 되고, 고무줄 통증이 너무 심한 경우 진통제를 복용 해주시거나, 치과로 연락하여 상의 후 고무줄 사용 중단 등의 알맞은 방식을 권장해줄것입니다.

- 간혹 고무줄을 걸다보면 턱관절이 아프다고 내원하는 환자분들이 계십니다. 고무줄을 걸고 말을 하는 등의 구강 영역에서의 운동이 생긴다면 턱관절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며 적응이 되는 부분이지만, 지속적으로 불편감을 호소한다면 담당 원장님께 불편감에 대해 문의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밖에서 식사 시 고무줄을 휴지에 감싸두었다가 깜빡하고 챙겨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은 알약 케이스나 통을 준비하여 고무줄 보관용으로 사용하시면 고무줄 착용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교정장치 부착 후 주의사항>

치아 교정을 시작한 후 되도록 지켜야 할 주의사항들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1. 치아 교정 중 식사는 어떻게 할까요?

- 교정을 시작하기 전 가장 고민이 큰 부분 중 하나가 "밥 어떻게 먹어요?"가 많을텐데요, 아무래도 치아 교정 장치인 브라켓이 치아에 부착되면 음식물 섭취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 브라켓의 경우 치아 색인 경우와 메탈색인 경우로 나뉘는데, 치아 색인 경우, 착색을 유발하는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장치의 색상도 일시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자주 접할 수 있는 "카레"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카레를 먹은 후 치아 색인 브라켓의 경우 일시적으로 노랗게 착색이 될 수 있습니다. 추후 양치질 하고 나면 서서히 돌아오긴 하지만, 착색을 잘 유발하는 음식은 되도록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 젤리 등과 같이 딱딱한 음식과 끈적이며 질긴 젤리류도 가급적이면 안 드시는 것이 좋고 이러한 음식물들은 브라켓 주변으로 껌 같은 것들이 엉겨 붙어 제거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장치가 빨리 탈락될 수 있습니다.

- 치아 교정 중에는 당연히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고기나 약간 부피가 큰 음식을 드실때는 가위로 잘게 잘라 섭취하시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렇게 신경써서 사용하다 보면 브라켓의 탈락도 적습니다.

- 월 진료 후 또는 검진 때마다 통증이 가장 심할 때가 있습니다. 그 때는 선택적으로 부드러운 음식물 위주로 식사해주시고, 유동식, 계란,두부, 우유등을 드시면 더 좋습니다.

2. 교정용 치아 관리법이 따로 있나요?

치아 교정 중에는 충치가 잘 생기기 쉽습니다. 브라켓이 붙어있는 부위나 치아 사이 부위의 양치질이 쉽지 않기 때문에 브라켓 주변과 치아 사이 부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교정용 칫솔, 치간 칫솔, 슈퍼플로스 치실을 사용하여 충치가 생기기 쉬운 곳을 관리하는것이 중요합니다.

3. 교정 중 브라켓이 떨어지면 어떻게 하나요?

교정 치료 중 사용하는 브라켓은 교정 치료가 종결되어야 제거하는 장치이므로, 치료 중 떨어지면 재부착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탈락 시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치과로 내원하여 재부착 하는것을 권유합니다. 치아에 브라켓이 붙어있어야 와이어와 브라켓을 연결하여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 끝에 찔리면 어떻게 하나요?

교정은 올바른 아치 형태의 와이어 모양을 따라서 치아의 모양이 바뀌는것이라고 이해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브라켓에 와이어를 체결하는데요, 중간에 치열이 바뀜에 따라 와이어의 툭 튀어나온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찔리는 정도가 일상 생활을 하는데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치과에 내원하여 확인을 받아야하고, 적응 단계에서 찔리는 느낌이라면 교정용 왁스를 와이어 끝에 붙여주면 불편함이 줄어들 것 입니다.

5. 치아 교정 중 주의가 필요한 행동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치아 교정 중에는 앞니 또는 얼굴 안면 부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브라켓 때문에 얼굴에 부상을 당했을 때 입술 안쪽이 다칠 수 있으며, 또한 격투기 등 얼굴에 힘을 가하는 운동은 지양하는것이 중요합니다. 

6. 한 달에 한 번 내원하는것 꼭 지켜야 하나요?

교정 치료를 좋은 치료로 이어가기 위해선, 가급적 월 치료 날짜는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속을 한 번 미루게 되면, 그만큼 치아 교정의 치료 기간이 계속 늦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브라켓이 부착되어 있는 동안 대략 4주에 한 번씩 교정 체크를 받게 되는데, 장기간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아 우식 또는 치주 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통상적으로 치아 교정은 짧으면 1년에서 1년 반, 길면 2년에서 3년까지도 소요되기 때문에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여 오랜기간 잘 지켜주는것이 중요합니다.

 

<교정치료 고무줄>

교정 치료 시 사용되는 보조 장치 중 하나인 고무줄은 개개인의 치열 및 잇몸 상태에 따라 사용 여부가 결정됩니다.  고무줄은 어느정도 치아 배열이 다 되어가는 시점 또는 발치 공간을 닫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교정 치료 마무리에도 큰 역할을 하는 만큼, 사용시 주의사항을 잘 지켜주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치아 교정시 사용하는 고무줄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교정을 위해 발치한 공간을 비교적 빠르게 닫히게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발치 공간 이외에도 치아 사이가 많이 벌어져 있는 경우에 빈 공간으로 치아를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 위턱과 아래턱의 맞물리는 교합이 이상적으로 물릴 수 있도록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 교정 마지막 단계에서 빠르게 마무리 지어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 치아의 앞니 중심선을 세밀하게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2. 치아 교정 고무줄 사용시 주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교정 고무줄은 식사를 할 때나 양치질을 할 때만 제외하고 24시간 착용이 원칙입니다 : 고무줄을 오래 끼고 있어야 효과적이기 때문에 잘 때 역시 고무줄을 건 상태로 주무시는것이 고무줄의 효과를 최대로 볼 수 있습니다.

- 교정 고무줄을 거는 치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고무줄을 처음 걸게 되면 치아에 새로운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그 힘에 익숙해지면 통증은 서서히 없어지게 되고, 대부분 3~4일 지나면 통증은 괜찮아지지만 그 정도가 심하신 분들은 진통제를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 

- 통증이 있다고 해서 고무줄을 걸지 않으면 고무줄이 주는 교정적 치료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니 고무줄 착용이 필요한 시기에는 꼭 착용하시길 바랍니다.

- 고무줄 착용 후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고 불필요한 힘이 고무줄을 건 치아에 전달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음식물 섭취 시 꼭 제거를 한 후 식사를 하셔야 합니다. 또한 고무줄을 착용한 상태에서 카레 등의 착색 유발 식품을 섭취한 경우 고무줄의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 고무줄은 하루에 1회만 교환합니다 : 고무줄이 끊어지는 등의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하루에 한 번만 교환하는것이 필수입니다. 환자 임의대로 여러번 교환하거나 여러개를 뭉쳐서 끼는 등의 행동은 절대로 금지합니다.

- 고무줄을 거는 치아의 교정 장치가 탈락할 수 있습니다. 장치가 탈락한다면 최대한 빨리 치과에 내원하여 장치를 다시 부착한 후 고무줄 착용을 이어서 하는것이 좋습니다.

-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료진이 알려준 대로 올바르고 정확한 위치에 맞춰 고무줄을 거는것 입니다. 

- 위치가 헷갈리는 경우에는 처음에 사진을 찍어두는것이 도움이 되고, 고무줄 통증이 너무 심한 경우 진통제를 복용 해주시거나, 치과로 연락하여 상의 후 고무줄 사용 중단 등의 알맞은 방식을 권장해줄것입니다.

- 간혹 고무줄을 걸다보면 턱관절이 아프다고 내원하는 환자분들이 계십니다. 고무줄을 걸고 말을 하는 등의 구강 영역에서의 운동이 생긴다면 턱관절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며 적응이 되는 부분이지만, 지속적으로 불편감을 호소한다면 담당 원장님께 불편감에 대해 문의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밖에서 식사 시 고무줄을 휴지에 감싸두었다가 깜빡하고 챙겨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은 알약 케이스나 통을 준비하여 고무줄 보관용으로 사용하시면 고무줄 착용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