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관치료란?
근관 치료는 치수 전체 또는 그 일부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술식입니다.
근관치료, 소위 신경 치료는 충치나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치아의 내부에 감염이나 치수괴사 등의 문제가 생긴 경우 치수를 제거하고 치아의 내부를 세척 및 소독한 다음 그 공간을 거터퍼챠(gutta percha)와 같은 인공 물질로 채워 넣음으로써 세균을 제거하고 통증을 제거하여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 치료입니다.
건전한 치아의 내부, 즉 치수조직은 무균상태인데요, 치아 우식증 등의 원인으로 세균이 치수 내부로 침입하여 증식하면 치수질환이 발생하고, 이 상태가 악화되면 치수는 결국 사멸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균의 유해 작용은 치근단공을 통해 치근단 조직까지 악영향을 미쳐 치근단질환을 일으키며. 이 치근단 질환은 치근 주위의 치주조직을 계속 파괴하여 급성 치근단농양, 치아 상실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됩니다.
이러한 치수질환과 치근단 질환을 대상으로 시행 하는 근관치료는 근관 속의 세균과 감염된 치수를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제거 (근관형성 ,canal preparation)한 후에 근관 내부를 밀폐 (근관충전, canal obturation)함으로써 근관이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술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신경 치료라고도 불리지만 치아의 신경만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고 치아의 내부, 즉 치근관(root canal)의 연조직)을 제거하는 치료이므로 근관 치료라 부르는 것이 옳습니다.
2. 근관치료 단계별 과정
1단계: 마취 및 방습 (Anesthesia & Isolation)
치수가 완전히 괴사한 경우에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못하므로 마취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마취를 하게 될 경우 공포심을 느끼는 환자를 위해 주사 전 마취크림으로 표면마취를 미리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마취액을 주사할 때는 체온과 유사한 온도의 마취액을 가급적 천천히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면 환자의 통증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2단계: 시술 전 처치(pre-treatment)
러버댐의 장착 가능여부에 대해 확인하고 교합면을 삭제해 근관치료 과정 중 씹는 교합압 또는 저작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교합외상을 피하고, 치아의 파절을 방지하도록 합니다. 치아의 벽을 둘러싸고 있는 치질의 양이 부족할 경우엔 치과 재료를 이용하여 벽을 형성해줌으로써 근관장 측정시 일정한 기준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3단계: 치수강 개방 (Pulp chamber opening)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강의 위치와 형태를 확인한 후 고속핸드피스에 버를 이용해 와동을 형성하고 치수강 내에 치수가 존재하는 경우 모두 제거합니다. 이때 치수실저와 벽을 삭제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스무스 브로치나 근관탐침을 이용해 근관의 입구를 찾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치과용 국소마취로 동통을 조절합니다.
4단계: 발수 (Pulp extirpation)
모든 치수를 제거하는 것을 발수라고 하는데요, 기구를 이용하여 치수강으로부터 치수를 완전히 제거하고, 근관이 넓고 치수가 생활력이 있으면 가시 브로치(barbed broach)를 사용하고 근관이 좁거나 치수가 괴사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일(file)을 사용해 치수를 제거합니다.
파일(file)을 제거한 후에는 파일(file) 끝에 묻어나온 조직들을 거즈에 닦고 관찰을 해보아야 하는데 만약 색깔이 깨끗하지 못하고 검은 빛을 띠면 근관이 깨끗이 청소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단계: 근관장의 측정 (Working length determination)
근관장(working length)이란 근관치료의 작업길이를 뜻하며 근관치료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근관장은 치아의 교두의 맨 꼭대기에서 뿌리의 맨 끝의 가장 좁은 부위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근관장을 본래의 길이보다 짧게 측정시 나머지 부분의 세균을 제거하지 못하고, 길게 측정시 기구가 근관의 끝 이상을 넘어가 치주조직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근관장은 측정할 때마다 다르게 나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술자의 과실이 있을 수 있지만 근관의 길이가 조금씩 변하기 때문입니다.
6단계: 근관의 형성 (Canal preparation)
근관의 용적을 증가시켜 근관 내에서의 기구 사용 및 근관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물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합니다. 근관의 끝은 좁고, 근관 입구 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 모양의 근관형태로 만들어 주는 과정으로, 근관의 형성에 사용되는 기구에는 수동기구(H형, K형 파일, reamer), 저속 회전기구(지지버, 피조리머 , 엔진구동형 기구(Ni-Ti file) 등이 있습니다.
정확한 근관장을 측정한 후 사용기구에 고무로된 rubber stop을 부착해 기구가 근단공을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7단계: 근관의 세척 및 건조 (Canal irrigation, Drying)
기구를 이용한 근관확대만으로는 불규칙한 근관의 내용물들을 모두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근관세척제를 함께 사용합니다. 근관 내 상아질 벽의 불규칙한 면이나 조직 잔사 또는 삭제된 상아질편 등은 세균의 서식지가 됩니다. 치수 조직 및 상아질 잔사를 제거하고 근관파일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근관 내 세균의 수를 줄이기 위해 근관세척을 시행합니다. 근관을 세척한 후 알맞은 사이즈의 페이퍼 포인트(paper point)를 근관 내로 삽입하여 근관을 건조시킨다. 건조를 하는 이유는 근관내 근관소독제를 사용할 경우 농도가 희석될 수 있고 근관내 미생물의 서식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조시킬때엔 근관 내로 공기(air)를 불면 안되는데요, 이는 뿌리 끝에 기종이 생길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8단계: 근관소독 및 가봉(canal medication, disinfection, temporary sealing)
근관소독은 근관 내에 치과용 약제를 넣어 근관 내에 남아 있는 세균을 사멸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임상에서는 살균효과와 시술 후 동통의 예방 또는 억제, 근관 내 삼출물의 억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근관소독제는 치과계의 아스피린이라고도 불리는 수산화칼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근관소독제는 독성을 가지기 때문에 소독제가 치근단 조직에 직접 닿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9단계: 근관의 충전(Canal filling)
근관의 공간과 빈틈을 완전히 폐쇄하고 근관과 치주 조직, 근관과 구강 사이의 감염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근관을 충전합니다. 근관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경우 근관 내에 남아 있던 미생물이 다시 치근단조직에 염증을 야기하기 때문입니다. 근관충전은 치료하고 있는 치아에 대한 환자의 동통이나 불편감, 타진반응이 없고 근관내 삼출물이 과도하지 않을 때 시행해야 하며, 근관충전재의 종류에는 크게 주 충전재인 가타퍼차 콘(gutta percha cone)과 보조 충전재인 근관실러(sealer)가 있습니다. 가타퍼차 콘(Gutta percha cone)에 근관실러(sealer)를 소량 바른 뒤 근관 내를 충전합니다.
3. 근관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와 처치
치아의 천공, 근관 내 기구파절, 충전물에 의한 근관막힘, 선반형성, 과충전, 저충전 등이 사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치아의 천공 : 치수강의 천공, 치경부 천공, 치근부 천공이 있고, 아말감, 레진, MTA 등과 같은 재료로 천공 부위를 막습니다.
- 근관 내 기구의 파절 : 기구의 파절편을 제거합니다. 제거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우회하여 치료하고 우회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부위까지 치료합니다. 기구의 파절편을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역충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충전물에 의한 근관의 막힘 : 가타퍼차, 실버 콘, 포스트 등 막힘의 원인이 되는 충전물을 제거해야 치료가 가능합니다.
- 과충전, 저충전 : 과충전 또는 저충전 된 근관충전물을 모두 제거하고 다시 근관충전을 시행합니다.